본문 바로가기
나이프/나이프 관련정보

삼국지 유비포함 대표 인물들과 무기

by 정글도수집가 2021. 6. 25.
반응형

 

 

출처 = https://bit.ly/2SwP1Uc

1. 관우 - 청룡언월도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 장수. 청룡언월도는 관우를 상징하는 무기로 관우가 죽은 이후 오나라의 장수 반장이 사용하지만 관우의 둘째 아들 관흥이 반장을 죽이고 되찾아 옵니다. 청룡언월도는 82근 (49.2kg)의 쇠로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호걸들이 괴력을 강조하기 위해 허구나 과장이 있었을 거라고 추측됩니다.

 

 

 

출처 = https://bit.ly/3h57dML

2. 유비 - 쌍고검

한쪽 면이 납작해 두 자루의 검이 한 칼집에 포개져 들어가는 이 쌍고검은 두자루의 쌍검으로 자웅일대검이라는 표현을 쓰곤하는데 일본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 보아 일본의 영향이 있었을 것 입니다. 실제로 드라마나 만화에서 유비가 이 쌍고검을 활용하는 장면이 많이 없는데 여포가 관우, 장비와 맞붙을때 유비가 쌍고검을 들고 달려와 싸운 것이 거의 유일합니다.

 

 

출처 = https://bit.ly/3qrZ4WQ

3. 장비 - 장팔사모

삼국시대 가장 강력하고 훌륭한 창으로 불리는 장팔사모는 장비가 사용한 무기로 도원결의 이후 대장간에서 청룡언월도와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장팔사모는 창날의 모양이 뱀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 처럼 구불구불 했기 때문에 장팔사모라고 불렸으며 1장 8척 그 당시 1척은 약 25cm 였기 때문에 4미터 50센치의 길이를 자랑했습니다.

 

 

 

출처 = https://bit.ly/2SXwvoh

4. 여포 - 방천화극

방천화극은 삼국지에서 가장 강력한 무장으로 알려진 여포가 사용했던 무기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방천화극은 원나라 삼국지연의 실제작가 나관중의 창작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삼국지에서 가장 인상깊은 부분은 여포가 적토마를 타고 방천화극을 휘두르는 이미지를 만드는데 많은 역할을 했습니다.

 

SMALL

 

출처 = https://bit.ly/3wZ7s2F

5. 조조 - 의천검

조운(조자룡)이 하우은을 죽이고 청강검을 얻었을때 조조가 의천검을 가지고 있었다는 전설로 알려진 보검입니다.

 

 

 

출처 = https://bit.ly/3gXaTRK

6. 조자룡(조운) - 애각창

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었다는 애각창은 장비의 장팔사모가 없었다면 최고의 창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조자룡은 아두를 구할때 청강검을 사용해 적을 도륙했지만 이후 청감겅르 쓴다는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조자룡은 자신이 사용하는 창에 대척할 자가 없다는 뜻으로 애각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소문에 의하면 9척(약 3m) 정도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운의 전투를 보면 애각창 보다는 헌창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출처 = https://bit.ly/3zVBfLz

7. 서황 - 대부

후한 말, 삼국시대 위나라 장수 서황은 긴 자루에 도끼날을 단 형태의 무기인 대부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는 갑옷으로 무장한 중장기병을 무찌르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서황이란 인물은 관우, 장료와 친하게 지냈으며 양봉 휘하에서 조조에게 귀순한 후 많은 활약을 하며 오장군 (장료, 약진, 우금, 장합, 서황) 중 한 명으로 평가받습니다.

 

 

 

출처 = https://bit.ly/3vXxhyX

8. 전위 - 쌍철극

전위가 사용하던 쌍철극이 유명해진 이유는 5백근을 짊어지고 7백리를 걷는 무장으로 평가받는 호거아가 쌍철극을 지닌 전위와 정면대결에서는 절대 이길 수 없다고 말하면서 쌍철극을 훔치는 장면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쌍철극은 두개의 극을 한손에 하나씩 들어 사용하는 무기로 정사에서는 긴 화극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극의 형태가 어떻게 생겼는지 정확한 확인은 어렵습니다.

 

 

출처 = https://bit.ly/3xYlhPb

9. 제갈량 - 학우선

백우선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부채는 제갈량이 애용한 부채로서 학의깃털로 만들어진 부채입니다. 

 

 

한일도검 수련용 일본도 hc8118-147한일도검 고탄강 한신 가검대조영도검 1053 죽절도 고망간강 일본도

 

반응형